심장이 주기적인 전기 신호를 통해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한다는 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것 같습니다. 오늘은 심장 내부에서 어떤 경로를 통해서 전기 신호가 발생하고 전달되어 주기적인 심방과 심실의 수축이 나타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 신호의 발생


심장은 우리가 의식하지 않아도 계속 뛰고 있습니다. 우리가 의식해야 심장이 뛴다면 자는 동안에는 심장이 뛸 수가 없겠죠?^^ 또한 주기적으로 심장이 뛰기 위해서 심장은 자체적으로 전기 신호를 만들고 이를 전달시킵니다.



이렇게 심장에서 처음에 자체적으로 전기 신호를 만드는 곳이 있는데, Sinoatrial node(SA node)입니다. 한글로는 굴심방결정 정도가 되겠네요. SA node는 우심방의 벽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대정맥(superior vena cava)이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곳에 위치한 sinus venarum 옆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기 신호의 전달



SA node에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면 이렇게 발생된 전기 신호는 Atrioventricular node(AV node)로 전달됩니다. AV node는 이름처럼 심방과 심실 사이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AV node로 전달된 전기 신호는 양측 심실의 사이 벽에 위치한 His bundle이라는 구조물에 의해 심장의 아래쪽 끝 부분인 apex로 전달됩니다. apex로 전달된 전기 신호는 양측 심실에 위치한 Purkinje fiber로 전달되어 심실이 수축하도록 해 줍니다.




SA node, AV node, His bundle, Purkinje fiber 각각에서 전기 신호가 발생 혹은 전달될 때 심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SA node에서 전기 신호가 발생 - 심방의 탈분극(심방의 수축이 일어남)


  • AV node로 전기 신호 전달 - 심방 수축과 심실 수축 사이의 시간 간격


  • His bundle & Purkinje fiber - 심실 탈분극(심실 수축)



 

응탈맨의 응급실 탈출하기

응급실 노동자가 주식, 부동산 재테크 투자를 통해 응급실을 탈출하는 여정을 담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