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하다 보면 thrombus와 embolus라는 단어가 자주 같이 등장합니다. 둘 다 혈관을 막는다는 내용에서는 비슷한 것 같은데, 다른 원인으로 설명되죠. 예를 들면 장간막 허혈의 원인으로, arterial embolism과 arterial thrombosis가 각각의 원인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thrombus와 embolus의 차이를 알아보았습니다.



thrombus는 혈관 벽에 생긴 부착물 혹은 덩어리입니다. 그래서 이동하지 않죠. thrombus의 구성물은 주로 RBC나 혹은 platelet처럼 혈액의 구성물질입니다. thrombus가 등장할 때는 주로 죽상경화증을 동반한 환자일 때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thrombus의 예로는 다리의 정맥에 생기는 Deep vein thrombus(DVT)가 있겠네요.



embolus(emboli)는 혈관벽에 부착된 thrombus와 달리 혈류를 타고 이동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이동하는 덩어리인 embolus도 대부분은 혈관벽에 부착되어 있던 thrombus가 떨어져나와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라고 하네요. 이러한 embolus 이외에도 지방이 떠다니는 fat embolus나 혹은 공기가 떠다니는 air embolus가 있습니다. 양수가 떠다니는 amniotic embolus도 있구요. 대표적인 예로는 Pulmonary embolism(PE)입니다. 이러한 Pulmonary embolism은 embolism일테니 폐혈관 자체에서 thrombus가 생겨 막힌 것이 아니고, 다른 곳에서 만들어진 emboli가 혈관을 타고 흐르다가 폐의 혈관을 막은 것입니다.




 

응탈맨의 응급실 탈출하기

응급실 노동자가 주식, 부동산 재테크 투자를 통해 응급실을 탈출하는 여정을 담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