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에서 피가 섞여 나오는 객혈(hemoptysis)은 지혈이 되지 않을 경우 사망에도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객혈의 원인 및 진단,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객혈의 원인 중 가장 흔한 원인은 폐렴 등의 호흡기계 감염입니다. 일반적으로는 폐렴, 기관지염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성 폐렴도 하나의 원인이 됩니다. 폐 자체 조직의 손상으로 발생할 수도 있는데 결핵균은 폐의 기질을 손상시켜 혈관을 노출시킬 수 있고 적은 자극에도 이러한 혈관들이 손상되어 객혈을 일으킵니다. 또한 기저에 기관지 확장증이나 외상에 의해서도 객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폐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심장 질환이 있을 때에도 객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심부전에 의해 폐부종이 생길 경우에도 객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객혈을 진단하는 방법은 객혈의 양은 어땠는지, 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기저 질환은 무엇이 있는이 알아보게 됩니다. 또한 흉부엑스선 촬영 및 CT 촬영을 통해 폐의 기질적인 질환은 없는지, 새로 폐렴이나 암 등이 생기지는 않았는지 알아봅니다.
특히 객혈의 양이 많을 경우 대량 객혈(massive hemoptysis)라고 하는데 이는 600cc 이상의 객혈을 이야기합니다.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등의 응급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객혈의 치료법은 우선적으로 다량의 객혈로 인해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기도 확보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객혈 발생 부위(좌폐 혹은 우폐)가 아래로 가도록 환자를 편측으로 눕도록 해 줍니다. 산소포화도 감소 시 산소 공급을 해 주며 지혈제를 투여하고, 혈관을 통한 지혈술을 고려합니다. 이러한 응급조치에도 출혈이 지속될 경우 폐 절제술 등의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응탈맨의 응급실 탈출하기
응급실 노동자가 주식, 부동산 재테크 투자를 통해 응급실을 탈출하는 여정을 담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