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간은 여러 뇌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뇌간(腦幹)을 한글로 풀어서 쓰면 뇌줄기로 해석됩니다. 뇌 구조 중에서 말초 부위에 해당하며 뇌간의 구성은 아래쪽부터 숨뇌(연수, medulla oblongata), 다리뇌(뇌교, pons), 중간뇌(중뇌, midbrain)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세 가지 구성 요소는 각각의 구조와 기능을 가지며 호흡, 맥박, 혈압 등의 생체 징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뇌간이라는 이름은 뇌를 받쳐주는 기둥처럼 생겼다고 하여 뇌간, 뇌줄기로 이름이 붙었습니다.

 

가장 진한 부분이 뇌간(뇌줄기)입니다.

 

징징이가 생각나는건 왜죠...?

 

 

아무튼 뇌간은 연수, 뇌교, 중뇌로 구성됩니다. 저는 아래쪽부터 외우는 게 편해서 medulla, pons, midbrain으로 외웠습니다. 연수(medulla)는 pyramid를 포함하며 corticospinal tract이 지나가며, 정신과 약물을 다량 복용할 때 나타나는 추체외로계 증상(extrapyramidal symptom)과 관련이 있습니다. pyramid는 corticospinal fiber를 포함하며 corticospinal fiber는 internal capsule을 통과해서 척수로 들어가게 되며 pons(뇌교, 숨뇌)를 지나 medulla를 통과하게 됩니다.

 

연수(medulla)에서는 4개의 뇌신경이 나오게 되며, 설하신경(12번 뇌신경), 설인두신경(9번 뇌신경), 미주신경(10번 뇌신경), 더부신경(11번 뇌신경)이 그것입니다.

 

뇌교(pons)는 basilar artery가 모이는 부분으로 ascending spinal tract이 지나갑니다. 크기는 대략 2.5cm가량 도는 구조물로, 좌우 소뇌가 교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삼차신경(5번 뇌신경), 갓돌림신경(6번 뇌신경), 얼굴 신경(7번 뇌신경), 속 귀신경(8번 뇌신경)이 뇌교에서 분지 합니다.

 

중뇌(midbrain)는 뇌간의 세 가지 구조물 중에서 가장 짧은 부분입니다. thalamus의 아래쪽에 붙어 있습니다. 중뇌의 양측 옆으로 시신경관(optic tract)이 지나갑니다. 도르래 신경(4번 뇌신경)이 나옵니다. 

 

 

 

뇌간의 기능을 요약하자면...

 

뇌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해주는 교통의 요지이며...

생명의 징후를 나타내는 혈압, 맥박, 호흡의 중추이며...

뇌신경이 나오는 원천입니다.

생명의 원천!

 

응탈맨의 응급실 탈출하기

응급실 노동자가 주식, 부동산 재테크 투자를 통해 응급실을 탈출하는 여정을 담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