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병원에서는 수십 건의 수술이 이뤄집니다. 수술 결과도 중요하지만 수술 후 관리 또한 소홀히 할 수 없는데요, 오늘은 수술 후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감염위험성 간호진단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간호문제
1-1 주관적 자료 (S)
▶ "수술 부위가 가려워요"
▶ "어제 의사 선생님이 소독 안해주셨는데.. 오늘은 오시겠죠?"
▶ "수술부위가 어제까지만 해도 가렵더니 이젠 좀 붓는 것 같아요."
1-2 객관적 자료 (O)
▶ 수술부위 발적, 부종 관찰됨.
▶ OP site QD dressing 이나, 어제 인턴 소독 안함.
▶ V/S 120/78-82-14-37.5 측정됨.
▶ 피검사 결과 : CRP 5.4, WBC 25000
2. 간호 진단 (A)
▶ 수술부위 관리부족으로 인한 절개부위의 감염 위험성
3. 간호 목표
▶ 환자는 수술부위 감염이 생기지 않고 2주일 내 T/S/O 한다.
4. 간호 계획 (P)
▶ 환자 간호 전, 후로 철저히 손씻기를 시행한다.
▶ 환자, 보호자에게도 주변 위생과 손씻기에 대한 교육을 한다.
▶ 매일 소독 했는지 챙기며 의료진과 환자 상태를 공유한다.
▶ 처방된 항생제를 5right에 맞게 정해진 시간에 투여한다.
▶ 발열이 나는지 확인하며 V/S 측정한다.
▶ 환자에게 수술부위에서 삼출물이 나오거나 통증이 악화되는 등 특이사항이 있으면 바로 간호사에게 알리라고 교육한다.
▶ 의료진과 소독 간격, culture 등 상의한다.
5. 간호 수행
▶ 환자 간호 전, 후로 손씻기 시행함.
▶ 환자, 보호자에게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교육하고 잘 수행하는지 모니터링 함.
▶ 주변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교육함.
▶ 수술부위 소독 매일 하고 있는지 확인함.
▶ 처방된 항생제를 정해진 시간에 5right에 맞춰 투여함.
▶ 처방대로 q8rh 간격으로 V/S 측정했으며 37.5 이상 측정시 2시간 간격으로 발열 측정함.
시간 | 혈압 | 맥박 | 호흡 | 체온 |
08:00 | 125/78 | 82 | 14 | 36.5 |
16:00 | 132/82 | 81 | 16 | 37.6 |
18:00 | 37.5 | |||
20:00 | 37.3 | |||
22:00 | 128/75 | 81 | 14 | 37.2 |
▶환자에게 수술부위 특이사항 있을 시 즉시 간호사에게 얘기하라고 교육함.
-환자 수술부위 농양처럼 보이는 삼출물 나온다고 간호사에게 얘기함. 담당 의사에게 notify 후 culture 검사 나가고, 소독 간격 Bid로 변경함.
6. 간호 평가 (E)
▶ 환자는 수술 후 2주일 내 T/S/O 하였다.
응탈맨의 응급실 탈출하기
응급실 노동자가 주식, 부동산 재테크 투자를 통해 응급실을 탈출하는 여정을 담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