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병문안을 갔는데 환자가 알아보지 못하거나, 계속 헛소리를 하셔서 깜짝 놀란 적이 있을 겁니다. 병원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증상인데요, 보통 중환자실 치료를 오래 받거나 뇌 손상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종종 나타납니다. 전체 병원 입원 환자의 10~15%가 섬망을 경험하고, 특히 수술 후 또는 노인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갑자기 환자가 날짜/장소/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주의력 저하, 안절부절 못함, 잠을 안잠, 소리지름, 주사 등 몸에 부착된 관을 빼냄 등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전혀 협조되지 않고 치료를 위해 삽입한 관을 뽑기도 합니다.

 

섬망의 원인으로는 주로 감염, 열병, 저산소증, 저혈당증, 약물 중독, 간성뇌증 등과 같은 대사장애와 뇌종양,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등 중추신경계 이상이 있을 때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아의 경우 감염, 발열, 약물 중독, 외상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경우 정신활성물질 중독과 금단, 외상, 감염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청장년의 경우 알코올 중독과 금단, 대사성 질환, 심혈관 질환 때문에 섬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노인의 경우 뇌혈관 질환과 심혈관 질환에서 섬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고령 자체도 섬망을 쉽게 일으키는 위험 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고령자가 골절, 외상 등으로 수술을 받게 되는 경우 섬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섬망과 치매의 가장 뚜렷한 차이는 '지속성'입니다. 섬망의 경우 증상이 수일 이내 급격히 발생하지만 원인이 교정되면 다시 수일 이내 호전됩니다. 하지만 치매는 수개월에 걸쳐 증상이 생기며, 증상의 기복이 심하지 않습니다.

 

섬망증세를 보이는 많은 환자들이 대게 밤에 잠을 못자고 소리를 지르며 격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밤새도록 "나 물 좀 줘"를 외치는 환자도 있고, 밭에 있는 배추 얘기로 밤을 지세는 사람도 있습니다. 쥐가 계속 다리위로 돌아다닌다고도 하고, 지남력 없이 무조건 일어나 나가려는 환자도 있습니다. 전혀 움직일 수 없고 몸에 관이 많이 달려있어도 인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주로 밤에 심해지고 낮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섬망은 대게 주된 원인이 되는 질병이 있고 그 질병이 치료/진행 되는 동안 동반되다 주된 질병이 나으면서 호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섬망의 근본원인이 되는 질병, 증세를 교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섬망이 왔을 때 보호자가 할 수 있는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1. 환자에게 날짜, 시간, 장소를 자주 되물어 지금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2. 환자에게 친숙한 환경을 제공하고(집에서 사용하던 물건이나, 이불, 베개), 항상 같이 있던 보호자가 옆에 있어줍니다.

 

3. 청력이나 시력이 저하되었다면 보청기나 안경 등 보조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섬망을 짧게는 수일에서 수십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몸집이 큰 성인 남성이나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과다각성, 과민성이 있는 환자의 경우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일시적으로 신체보호대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신체보호대를 착용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하고, 치료를 위해 삽입한 관 뽑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근본 원인이 되는 질병의 치료를 도울 수 있습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kurkur/products/6110284011

 

 

 

 

 

 

응탈맨의 응급실 탈출하기

응급실 노동자가 주식, 부동산 재테크 투자를 통해 응급실을 탈출하는 여정을 담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